GIT(3)
-
3. Github 사용하기 - source commit 및 원격 repository 에 등록하기
이제 얼추 git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설정이 완료되었으니 구체적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 1. git 설치 후 확인하였던 'git bash' 를 실행합니다. 2. git bash의 실행화면 입니다. git bash는 리눅스 명령어를 기본으로 하기에 리눅스를 다뤄보셨다면 사용하시는데 훨씬 수월하실 거 같네요. 3. git bash 를 실행하고 가장 먼저 해야할 작업입니다. 바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죠. 아래를 참고하여 사용자를 등록합니다.-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이름"-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메일주소 4. 이제 사용자를 등록했으니 자신의 프로젝트를 등록할 차례입니다. 저 같은 경우에는 미리 만들어둔 spring pr..
2019.06.05 -
2. Github 사용하기 - 사이트 가입 및 Repository 생성
github를 사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작업이 끝났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사용해보고자 합니다. 1. https://github.com 에 접속을 합니다. 2. 접속을 한 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합니다. 회원가입이 되어 있다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github은 기본 정책이 public 으로 되어 있으며 일정 금액을 내어야지마 비공개 저장소로 운영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3. 회원가입이 다 되었다는 가정하에 로그인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. 4. start a project 를 누른 다음 아래와 같은 형식으루 입력을 한 후 create repository 를 눌러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. 각 항목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- Owner : 소유자 , 회원가입 시 입력한 Username 이 입력되어..
2019.06.05 -
1. Github 설치하기 for windows
개발되어지는 소스를 관리하기 위해서 svn, cvs 등을 이용하는 것 말고 'GitHub'를 이용한 소스관리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1. https://git-scm.com/download/win 에 접속하여 최신 버전의 git을 다운로드 받습니다. 2.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, 'next' 만 눌러서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 (추가적으로 설치 경로등을 수정한다고 하면 별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. 또한 'Git Bash Here' 과 'Associate .sh files to be run with Bash' 는 꼭 체크해줘야 합니다) 3. 설치 이후 시작 프로그램에서 git bash 을 확인합니다.
2019.06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