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frame(2)
-
postmessage 사용법
iframe 사용 시 cross-domain 문제가 생기는 것에 관련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적어봅니다. [참고]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Window/postMessage 스크립트는 일반적으로 자신이 포함된 문서와 출처가 동일한 문서나 창의 프로퍼티만 읽을 수 있습니다. 이를 '동일 근원 정책'에 의해 제한된다라고들 하는데 '프로토콜, 도메인, 포트 중 어느 하나라도 다른 경우엔 다른 윈도우와 통신할 수 없다' 라고 정리하면 됩니다.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이 postMessage 입니다. 이를 통해 안전하게 origin 이 다른 윈도우와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.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. [수신부]$..
2019.07.19 -
ifame 태그 속성
iframe 태그 속성 1. src IFRAME 에 들어갈 파일의 주소(URL)를 입력 예) src=https://www.naver.com 2. width, height IFRAME 창의 가로, 세로의 길이를 결정하는 요소 숫자를 입력해야 하며, 단위는 픽셀(Pixel) 예) width="500", height="600" 3. align IFRAME 을 페이지안에 추가할때 좌,우,중앙 정렬을 어떻게 할것이지 결정 화면왼쪽은 left, 오른쪽은 rignt, 중앙은 center 예) align="left" 4. frameborder 웹 페이지안에 iframe 을 추가할때 iframe 의 테두리선을 보이게 할것인지 아닌지를 결정 보이게 할려면 1 또는 yes, 안보이게 할려면 0 또는 no 예) framebo..
2019.06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