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나들이(46)
-
자바스크립트 코드에서 breakpoint 잡기 - debugger 문
최근 자바스크립트는 웹 프로그래밍에서 보조 수단을 넘어서 비즈니스 로직의 일부를 포함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. 최신 브라우저 들은 저마다 개발자 도구를 지원하여 개발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어서 이 전 보다는 개발 및 디버깅이 훨씬 수월해 져서 그나마 다행이긴 합니다.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를 통해 디버깅 시 breakpoint 를 걸 수 있는데 개발자 도구에서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찾아 breakpoint 를 걸기가 때로는 불편하기도 합니다. 이 때는 아래와 같이 코드에 직접 삽입을 하고 개발자 도구를 띄운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"debugger" 문에 breakpoint 가 걸리게 됩니다. 개발자 도구가 떠 있지 않다면 무시가 됩니다. 적절히 활용하시면 유용하리라 생각되어 올립니다. for(i = 1; i
2019.06.05 -
STS 를 통한 SpringBoot 프로젝트 구성하기 (3)
지난번에 만들어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back-end 부분을 간략하게 구현해보고자 합니다.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의 사진을 참고해주시면 될 거 같네요 구현해보고자 하는것은 크게 컨트롤러, db연동(My-SQL), 화면 으로 기본적인 MVC 패턴으로 간략하게 시작해보려고 합니다.본격적으로 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pom.xml 을 열어 추가해야 할 항목들을 추가해주도록 합니다.참고로 My-SQL 설정에 있어 설치되어 있는 DB 버전과 아래의 dependency 추가 부분이 다를 경우 에러가 발생하니 맞춰주도록 합니다. javax.servlet javax.servlet-api 3.1.0 provided org.apache.tomcat.embed tomcat-embed-jasper 9.0.8 org.sp..
2019.06.05 -
STS 를 통한 SpringBoot 프로젝트 구성하기 (2)
STS 설치가 끝났으면 이제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해보도록 하죠. 이후 이를 바탕으로 각종 API 를 만들고 DB에 접속하고 하는 등의 과정을 풀어나가보도록 할게요. 1. 프로젝트 생성 (1) File > New 에서 Project... 를 선택합니다. (2) Spring Boot 라는 항목을 선택, Spring Starter Project 를 선택합니다. (3) 새로 생성할 프로젝트의 이름을 설정해주시고 Next! (4) 이후 사항들은 별다른 변경사항 없이 Next 누른 후 최종적으로 Finish를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. (5) 프로젝트가 생성된 모습입니다. 2. 기본 생성된 파일 설명 위 과정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생성(Wizard 를 이용한 프로젝트 생성)하고 나면, 몇 개의 파일들이 기본적으로..
2019.06.05 -
STS 를 통한 SpringBoot 프로젝트 구성하기 (1)
Spring 은 최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버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. Spring 은 웹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보통은 Tomcat 을 설치하고 그 위에 띄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복잡한과정을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SpringBoot 입니다. 최근에 SpringBoot 환경에서 개발해야 할 사항이 생겨 이 기회에 간략하게나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1. Java 설치기본사항으로 Java를 설치해야 합니다. 관련된 글은 기존에 적어놓은 것이 있기에 간략하게 설명을 적고자 합니다.(1) oracle 의 Java 다운로드 페이지 에서 자신이 사용할 Java 버전 및 OS에 맞는 버전을 받고 설치를 합니다.(2) 이후 환경변수 셋팅을 해주어야 합니다...
2019.06.05 -
3. Github 사용하기 - source commit 및 원격 repository 에 등록하기
이제 얼추 git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설정이 완료되었으니 구체적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 1. git 설치 후 확인하였던 'git bash' 를 실행합니다. 2. git bash의 실행화면 입니다. git bash는 리눅스 명령어를 기본으로 하기에 리눅스를 다뤄보셨다면 사용하시는데 훨씬 수월하실 거 같네요. 3. git bash 를 실행하고 가장 먼저 해야할 작업입니다. 바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죠. 아래를 참고하여 사용자를 등록합니다.-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이름"-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메일주소 4. 이제 사용자를 등록했으니 자신의 프로젝트를 등록할 차례입니다. 저 같은 경우에는 미리 만들어둔 spring pr..
2019.06.05 -
2. Github 사용하기 - 사이트 가입 및 Repository 생성
github를 사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작업이 끝났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사용해보고자 합니다. 1. https://github.com 에 접속을 합니다. 2. 접속을 한 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합니다. 회원가입이 되어 있다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github은 기본 정책이 public 으로 되어 있으며 일정 금액을 내어야지마 비공개 저장소로 운영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3. 회원가입이 다 되었다는 가정하에 로그인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. 4. start a project 를 누른 다음 아래와 같은 형식으루 입력을 한 후 create repository 를 눌러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. 각 항목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- Owner : 소유자 , 회원가입 시 입력한 Username 이 입력되어..
2019.06.05 -
1. Github 설치하기 for windows
개발되어지는 소스를 관리하기 위해서 svn, cvs 등을 이용하는 것 말고 'GitHub'를 이용한 소스관리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1. https://git-scm.com/download/win 에 접속하여 최신 버전의 git을 다운로드 받습니다. 2.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, 'next' 만 눌러서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 (추가적으로 설치 경로등을 수정한다고 하면 별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. 또한 'Git Bash Here' 과 'Associate .sh files to be run with Bash' 는 꼭 체크해줘야 합니다) 3. 설치 이후 시작 프로그램에서 git bash 을 확인합니다.
2019.06.05 -
[MSSQL] DB 백업 및 복원 방법
개발을 하다보면 실서버와 개발서버의 갭으로 인해 DB를 백업 및 복원해야 하는 경우가 잦기에MS-SQL을 사용 시 백업 및 복원하는 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1. DB 백업하기 - 그림처럼 백업하고 싶은 DB를 선택한 후 ' 마우스 오른쪽 버튼 > 테스크 > 백업 ' 을 클릭합니다. - 클릭 이후의 화면입니다. 사진처럼 어느 경로에 백업 파일이 생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'확인'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한 위치에 백업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2. DB 복원하기- 그림처럼 백업하고 싶은 DB를 선택한 후 ' 마우스 오른쪽 버튼 > 테스크 > 복원 > 파일 및 파일 그룹 ' 을 클릭합니다. - 이후의 화면입니다. 사진처럼 장치 부분을 선택한 후 파일 찾기를 선택합니다. - 이후의 화면..
2019.06.05 -
[MSSQL] 쿼리 결과가 없을 경우 대처법
오라클 같은 경우에는 nvl 이라든지 decode 라든지.. 여러 방법으로 쿼리 결과가 없을 경우 대처하는 법이 있었는데mssql에서는 잘 되지 않는 바람에 해당 방법을 적어볼까 합니다. IF EXISTS( 해당 데이터가 존재 하는지 셀렉트 ) BEGIN 데이터가 있는 경우 실행할 쿼리 END ELSE BEGIN 데이터가 없는 경우 실행할 쿼리 END 이것을 활용하여 insert 문이나 update 문 등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.
2019.06.05 -
내부망에서 개발 시 gradle 설정하기
흔히 회사에서 앱을 개발하다보면 사내 규칙에 의해 인터넷을 접속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마주하게 되더라구요.이 경우에 있어 앱이 빌드되어질 때 외부 환경에 접속하지 못해 빌딩이 안되는 경우가 생기는데이를 해결하기 위해 gradle 의 위치를 내부 환경으로 설정 해주도록 합니다. * gradle 이란 앱 빌드 배포 도구입니다. android studio 가 코드를 편집해주는 역할을 한다면 앱의 빌드는 gradle 이 담당하게 됩니다.
2019.06.05